‘공부 잘하는 아이’도 좋지만 ‘판단할 줄 아는 아이’는 다릅니다. 눈치가 빠른 것과는 또 다른 이야기예요.
스스로 생각하고, 느끼고, 선택할 줄 아는 힘. 그게 바로 ‘현명함’이죠.
그런 자녀로 키우려면, 부모는 조용히 뒤에서 방향만 잡아주면 됩니다.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해볼게요.
목차
1. “정답”보다 “생각”을 키우는 아이
요즘 아이들, 똑똑하죠. 정보도 빠르고, 반응도 빨라요. 그런데 가끔,“그걸 왜 했어?”라고 물으면 “그냥요”라는 말이 돌아옵니다. 문제를 잘 푸는 건 익숙한데 생각을 말로 풀어내는 건 낯선 거예요.
- “내가 화가 났었는데, 말하면 더 싸울까봐 참았어요.”
- “그 친구가 먼저 사과할 줄 알았어요.”
- “이건 해보고 싶었어요. 실패해도 괜찮을 것 같아서요.” </ 이렇게 말하는 아이. 현명하죠. 그리고, 이런 아이는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아요. 현명한 아이는요, 자기가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 천천히라도 말할 수 있는 아이예요.
현명한 부모 - 예스24
재테크하는제인 저 라디오북 2025년 01월 10% 18,000원 20,000원 포인트적립1,000원 판매지수 2,394 회원리뷰(41건) 리뷰 총점9.9 정보 더 보기/감추기 종이책 리뷰 (28건) eBook 리뷰 (0건) 종이책 한줄평
www.yes24.com
2. 현명한 자녀로 키우기 위한 부모의 태도 3가지
- 1) 말을 줄이고, 질문을 늘리세요
- ❌ “그건 이렇게 해야지!”
- ✅ “넌 어떻게 하고 싶어?”
- ✅ “왜 그렇게 생각했어?”
- ✅ “만약 친구 입장이었다면 어땠을까?”
- “실수했구나, 어떤 점이 어려웠어?”
- “다음엔 어떻게 해볼 수 있을까?”
- “그래도 도전한 건 잘했어!”
- “오늘 입고 싶은 옷 골라볼래?”
- “점심 메뉴는 너가 선택해봐”
- “용돈은 어떤 방식으로 쓸 계획이야?”
3. 생각하는 아이로 키우는 실천 팁 5가지
✅ 가정에서 뉴스나 이슈 이야기하기
– “이 뉴스에서 너는 어떤 생각이 들어?”, “이 상황이면 너는 어떻게 할래?”
✅ 아이의 말 끝까지 들어주기
– 중간에 끼어들지 않고, 다 듣고 나서 질문하기
✅ 책을 읽고 ‘왜?’ 질문 주고받기
– 줄거리보다 등장인물의 행동에 대한 생각 나누기
✅ ‘네가 결정해’ 대신 ‘너의 이유는 뭐야?’ 묻기
– 결정보다 ‘사유(思惟)’가 중요
✅ 다른 사람 입장에서 상상해보기
– “엄마가 너한테 이런 말 들으면 어떤 기분일까?”
인성 도서 - 예스24
미디어우토 2014년 03월 330,000원 330,000원 포인트적립1,650원 제작물로 2~3일 정도 소요됩니다. PC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.
www.yes24.com
4. 똑똑한 아이 vs 현명한 아이, 부모가 만드는 차이
구분 | 똑똑한 아이 | 현명한 아이 |
---|---|---|
기준 | 정보를 많이 알고 있음 | 상황을 파악하고 행동할 줄 앎 |
반응 | 문제를 빨리 푼다 | 상황을 읽고 판단한다 |
실수 시 | 위축되거나 감춤 | 배우고 다시 시도함 |
대화 | 정답을 말하려 함 | 다양한 시각을 고려함 |
학습 태도 | 암기 중심 | 질문 중심, 연결 중심 |
결론: 현명함은 IQ가 아니라 ‘생활 속 훈련’입니다
현명한 아이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, 가정 안에서 관계와 대화를 통해 길러지는 능력입니다. 부모가 말 대신 질문을, 지시 대신 선택을, 비난 대신 공감을 건넬 때 아이는 진짜 ‘생각하는 힘’을 갖게 됩니다.
공부 잘하는 아이도 좋지만, 스스로 생각하고 실천하는 힘이 있는 아이, 그 아이가 결국 인생에서 더 멀리 갑니다. 지금부터 아이와의 ‘대화 방식’을 바꿔보세요. 현명한 자녀는 그렇게 자랍니다.